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스파이더맨 : 노웨이홈> 줄거리 및 마블 세계관

by 퓨어마인드 2023. 1. 17.
반응형

스파이더맨:노웨이홈 포스터

<스파이더맨 : 노웨이홈> 정보 및 줄거리 

<스파이더맨: 노웨이홈>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27번째 장편 영화이자 마블 스튜디오 스파이더맨 시리즈의 3번째 작품으로 2021년 12월 15일 개봉하였습니다. 역대 영화 예고편 중 24시간 내 최다로 조회수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개봉 전부터 관심도가 넘쳤습니다. 시리즈 물이기 때문에 그 전작인 <스파이더맨:홈커밍>, <스파이더맨:파 프롬 홈>을 봐야 스토리를 이해하는데 문제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마블의 스파이더맨이 되기 전 스파이더맨 영화를 본 사람들이라면 스토리와 별개로 또 다른 추억에 빠질 만한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역대 피터 파커 역을 맡은 토비 맥과이어, 앤드류 가필드가 등장하여 세명의 스파이더맨이 함께 활약하는 장면을 볼 수 있습니다.

미스테리오의 스파이더맨의 정체는 피터 파커이며 자신을 공격했다는 폭로영상으로 영화는 시작됩니다. 피터는 곤경에 빠진 MJ를 데리고 피신하여 집으로 돌아옵니다. 하지만 안심하기도 잠시 방송사 헬기가 피터의 집 외곽을 생방송으로 송출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렇게 피터는 하루아침에 평범한 일상을 잃게 됩니다. 미스테리오 추종자들에게 욕을 먹고, 같은 학교 학생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길을 다니기도 힘들었습니다. 피터, MJ, 네드는 이를 피하기 위해 MIT에 입학하기로 했지만, 이번 논란으로 그마저 불합격 통지서를 받게 됩니다. 피터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닥터 스트레인지를 떠올리고 생텀을 찾아갑니다. 닥터 스트레인지에게 자신의 정체가 드러나기 이전으로 시간을 돌려달라고 했지만, 닥터 스트레인지는 이를 거부하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피터를 지워주겠다고 합니다. 닥터 스트레인지가 주문을 외우는 중 피터는 전부 다 말고 몇 명은 자신을 기억해야 한다고 주문에서 빼달라고 요청을 번복하면서 주문이 꼬이게 됩니다. 그러면서 주문은 폭주하고 차원이 찢어지고 맙니다. 그로 인해 뜻하지 않게 멀티버스가 열리면서 각각 다른 차원에서 불청객들이 나타납니다. 스파이더의 주요 빌런 닥터 옥토퍼스를 시작으로 스파이더맨의 오래된 빌런들이 한꺼번에 스파이더맨을 공격하면서 위기를 맞게 됩니다. 스파이더맨은 그들과 맞서 싸워야 하지만, 그의 큰엄마 메이가 죽으면서 정신적 붕괴가 일어나는 등 여러 위기를 극복하면서 과연 빌런들을 처치할 수 있을까요? 그 이후 내용은 영화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세계관 관련 논쟁 

개봉 전부터 MCU와 스파이더맨 트릴로지,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시리즈가 정말로 하나가 되었는지는 모르겠다는 주장이 많았습니다. 

빌런의 모습이 원작 영화 시리즈에 등장한 것도 그 근거입니다. 빌런 일렉트로는 원래 푸른색의 모습이지만, MCU 세계로 오면서 조금 더 인간적인 모습으로 바뀌었고, 닥터 옥토퍼스의 기계팔이 원래보다 길어진 등 영화적 허용, 단순 설정 오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외형이 조금 다르다고 해도 그 빌런이 그 빌런 맞습니다. 또한 스파이더맨이 마블 작품이긴 하지만 소니에서 관여하는 부분이 많아서 정통성에 대한 논쟁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소니에서 허가했으니 이런 내용을 담을 수 있었고, 스토리 자문으로 트릴로지의 샘 레이미와 어메이징 시리즈의 마크 웨브가 스토리 자문으로 참여하여서 이에 대한 논쟁은 사라졌습니다. 결론적으로 통합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누구도 직접적으로 맞다고 말하진 않았습니다. 세계관이 통합되었다고 해도 판권 문제로 본질적인 통합은 어렵다고 봅니다. 단지 팬서비스와 흥행전략으로 보고 영화를 즐기시면 될 것 같습니다. 

흥행 성적

<스파이더맨: 노웨이홈>은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TOP 6위를 차지하여 엄청난 흥행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역대 글로벌 오프닝 스코어 3위라는 성적을 내면서 제작비 3배 이상을 벌어 손익분기점을 넘겼고, 팬데믹 기간 최초로 10억 달러 흥행 돌파 영화가 탄생했습니다. 스파이더맨 실사화 시리즈 최고 흥행장이자 소니 픽쳐스 역대 최고 흥행장이 되었습니다. 팬데믹 기간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수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총수익은 19.17억 달러로 한화로 하면 약 2조 원입니다. 국내에서는 7,582,851명의 관객을 동원했습니다. 

반응형

댓글